분류 전체보기55 안전보건관리조직도 (feat.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직무)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전보건 관리조직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안전보건 관리조직은 각 기업의 업종과 규모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나 아주 일반적인 수준에서 어떤 분류로 구성이 가능한지, 각 조직 내 직무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안전보건 관리조직안전보건 관리조직을 일반적인 분류로 나누면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음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을 아직까지 보지 못했다. 1) Line형 조직 (직계형)먼저 Line형 조직이다. Top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생산지시와 안전지시가 내려오는 형태이다. 별도의 안전조직을 둘 수 없는 소규모 조직에 적합한 형태이다. (100명 미만)(1) 장점 : 신속하게 지시가 이루어짐, 의사결정이 빠름(2) 단.. 2024. 8. 15. 도급인의 산업재해 예방조치 (feat. 합동안전보건점검, 안전보건협의체, 순회점검) 오늘은 도급인의 산업재해예방조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2019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전부 개정되면서 가장 크게 변한 패러다임이 도급인의 책임강화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제64조에 따라 도급인은 관계수급인 근로자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 관계수급인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관리하고 책임져야 한다. 그 구체적인 안전보건조치에 대해 하나하나 정리해보기 전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1. 용어 정의1) 도급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건설∙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계약을 말한다. 굉장히 포괄적인 정의로 계약의 명칭에 관계없이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모든 계약이 도급이다. 따라서 민법상의 도급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민법상 도급은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 2024. 8. 13. 크레인의 안전장치 (feat. 구조와 종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레인의 구조와 종류, 안전장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크레인은 모든 산업현장에서 흔하게 사용된다. 그만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취급할 수 있는 무게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크레인을 안전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일반적인 크레인 지식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어차피 크레인은 무거운 물체를 들기 위한 구조이므로 형태만 다를 뿐 기능은 대동소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크레인에 부착된 안전장치의 원리와 기능, 안전관리사항에 대해서 안다면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크레인의 구조크레인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74조에 따라 안전인증대상 기계에 해당한다.정격하중 0.5톤 이상의 크레인을 설치, 이전하거나 주요구조부분을 변경하게 되면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호이스.. 2024. 8. 13. 지게차의 안전관리 (feat. 안정도, 자격관리, 사고유형과 대책) 이번 포스팅은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의 안정도, 자격관리, 사고유형과 대책)지게차는 포크, 램, 버킷 등을 이용하여 사업장 안팎에서 화물이나 제품을 운반할 수 있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중 하나로써 매우 간편하게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널리 사용되지만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는 기계이다.먼저 지게차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1. 지게차의 구조 일반적인 전동 지게차의 모습이다. 구조 및 명칭은 지게차의 종류와 관계없이 비슷하다.이 중에서 우리가 알아야 할 몇가지 안전장치와 구조물에 대해 기술해보자.1) 백레스트백레스트는 화물이 운전자에게 쏟아져 피해를 주지 않도록 막아주는 받침대이다. 일반적으로 포크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포크의 높낮이에 따라 함께 이동한.. 2024. 8. 10. 가스용접의 위험성과 안전대책 (feat. 아세틸렌) 이번에는 가스용접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용접은 산업현장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접합기술이다. 용접의 종류와 방법에 대해서는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가스용접 위주로 언급하고자 한다. 용접(welding)은 2개 이상의 금속을 하나로 이어붙이는 것을 말한다.그 종류는 크게 3가지로 구분이 된다.1. 융접(Fusion welding)우리가 흔히 말하는 용접이 융접에 해당한다. 모재와 용가재를 녹여 새로운 융합금속을 만들어 접합시키는 방법이다.GTAW, GMAW, SAW, SMAW, 가스용접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2. 압접(Pressure welding)용가재없이 모재에 강한 압력을 주어 접합하는 방법이다. 전기저항용접이 여기에 해당한다.3. 납땜(brazing, soldering)과학시간에.. 2024. 8. 8. 재료의 파괴 양식 (feat. 연성파괴, 취성파괴, 피로파괴, 크리프파괴, 환경파괴) 오늘은 파괴양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거나 압력용기나 배관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원인에 대해 조사하게 되는데 이때 손상(파괴)의 원인에 대해 규명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관리를 하다보면 이러한 사건사고의 원인규명 자료를 보게 되므로 우리는 파괴가 어떤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먼저, 파괴란 무엇인가? 하나의 재료 또는 제품이 2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파괴라 한다. 원래 나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의도하지 않았으나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것이 파괴인 것이다. 이 파괴의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다. 1. 항복점 이상의 큰 응력이 발생하여 파괴된 경우 2. 재료의 취성이 증가하여 적은 힘에도 파괴된 경우 3. 반복된 외력에 의해 .. 2024. 8. 8.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