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25 냉간가공과 열간가공 오늘은 간단히 냉간가공과 열간가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가공이란가공은 재료에 항복점 이상의 외력을 가해 원하는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소성변형을 이용하여 재료를 원하는 대로 만드는 것이다.이 가공은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것은 금속의 재결정온도를 기준으로 나뉜다. 금속의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가공하게 되면 열간가공(Hot working)이라 하고, 재결정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가공하는 것을 냉간가공(Cold working)이라 한다. 2. 냉간가공 vs 열간가공구분냉간가공열간가공정의재결정온도 미만에서 가공재결정온도 이상에서 가공장점- 정확한 치수로 가공이 가능- 재료를 가열하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 절감 가능- 가공경화 현상에 의해 강도 증가- 가공 시 적은 동력 소.. 2024. 12. 17. 안전밸브 설치대상, 검사, 요구사항 (feat. 종류와 형식표시) 오늘은 안전밸브에 대해 확인해보도록 하자. 안전밸브는 통상 압력용기에 부착되는 안전장치로 현장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 안전밸브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에 대해서만 공부해 보자. 1. 안전밸브란?설비나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압력을 초과할 경우 빠르게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는 안전장치이다.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에 명시된 정의는 다음과 같다.“밸브 입구 쪽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빠르게 작동하여 유체가 분출되고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정상상태로 복원되는 방호장치”이렇듯 열폭주 등 급격한 압력 상승으로 인해 파괴되어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압력을 초과할 경우 빠르게 압력을 방출함으로써 압력용기, 펌프, 컴프레서를 포함한 기계와 배.. 2024. 12. 5.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간혹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가 발생했다는 뉴스를 보게 된다. 에스컬레이터가 위로 올라가고 있는 경우 역주행하게 되면 사람들은 뒤로 넘어지기 때문에 크게 다칠 가능성이 높다.이런 역주행 사고의 주요원인은 역주행방지장치의 고장이나 성능 불량이다.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이 끊어지거나 늘어나게 되어 중력방향으로 급 하강하게 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치인데 이것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역주행방지장치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여러 이유 중 에스컬레이터를 한 줄로 이용하는 문화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특히 우측에는 서서가고 급한 사람은 좌측에서 걸어서 올라가는데 그때 작용하는 충격하중과 반복하중에 의해 마멸이 발생하고 우측에만 부하가 몰리는 상황이 불균형을 만들기 때문이다.(‘승강기 안전운행 및 관리에 관.. 2024. 11. 17. 원통형 압력용기의 응력과 두께 계산 원통형 압력용기가 터진 걸 본 적 있는가?원자재의 결함이 없고 용접이 문제없이 완료된 원통형 압력용기가 터지면 통상 길이방향으로 파괴가 발생한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한 번 살펴보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응력의 개념부터 확인해야 하므로 다음의 글을 먼저 확인하자.https://portsafety.tistory.com/7 응력과 외력 (feat. 응력의 단위)오늘은 응력(stress)의 개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응력의 개념은 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주제다.내용이 방대해서 3개로 나눠서 정리를 해야겠다.그 1편portsafety.tistory.com https://portsafety.tistory.com/10 허용응력과 안전율 (feat. 사용응력, 기준강도)이.. 2024. 11. 13. Risk Based Inspection (RBI, 위험기반검사) RBI는 Risk Based Inspection의 약자다. 위험성평가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검사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Oil & Gas, Petrochemical 산업에서는 RBI가 매우 보편화되어 있지만 일반 제조나 건설에서는 생소할 것이다. 화공, 기계안전기술로써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RBI에 대해 정리해보자. RBI에 대해 정리하기 전에 Inspection(검사)은 Maintenance(보전)와 궤를 함께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검사를 한 후 부적절한 상태에 있는 것을 보전해야 하고 보전을 위해서는 검사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일종의 바늘과 실이랄까. 1. 검사의 역사 구분내용특징TBI (시간기반검사)일정 시간이 지나면 검사- 소요비용, 인력 과다- 계획과 실행에 용이CBI.. 2024. 11. 12. Fe-C 평형상태도와 열처리 방법 오늘은 철의 평형상태도와 열처리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철의 평형상태도 (Fe-C 상태도) 철에는 탄소가 6.67%까지 포함될 수 있다. 그 이상 탄소를 넣게 되면 철에 포함되지 않고 그냥 탄소로 분리되어 버린다.탄소의 함유량과 온도에 따른 조직구성을 나타낸 것이 바로 평형상태도이다.실험기관에 따라 온도와 비율이 약간씩 다르긴 하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순철, 강,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 함유량과 변태점이다. 1) 철의 구분구분탄소 함유량순철 (Pure iron)0.025% 미만강 (Steel)0.025 ~ 2% 미만주철 (Cast iron)2 ~ 6.67% 2) 변태점변태란 금속이 특정 온도에서 결정구조나 자기적 성질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형태가 변하는 것으로 .. 2024. 11. 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