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25 부식의 메커니즘과 종류 (feat. 스테인레스강의 특성) 오늘은 부식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부식은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물질에서 발생한다. 물질의 종류에 따라 부식의 속도가 다른데 금속류에서 비교적 빠르게 나타나고 플라스틱 같은 수지에는 적게 나타난다. 우리가 관리하는 대부분의 기계, 설비, 도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금속의 부식에 대해 얘기하도록 하겠다.부식의 메커니즘을 알기 전에 부식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땅속 깊숙이 자리한 금속을 대기 중으로 꺼내어 우리가 사용하는 형태로 제련하는 것은 많은 에너지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연현상을 역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땅 속 깊이 부식된 형태로 있는 금속을 우리가 사용하기 용이하게 처리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금속은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고 그 과정을 .. 2024. 8. 22. 보일러의 이상현상 및 방호장치 (feat. 보일러의 구조) 오늘은 보일러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자. 보일러는 물이나 열매유(열전달 매개체로 보통 기름을 말함. 영어로는 Heat transfer fluid)를 가열하여 증기 또는 온유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예로부터 보일러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으며 방식도 매우 다양하여 많은 이론이 정립되어 있다.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만 확인해보도록 하자. 1. 보일러하면 떠오르는 것보일러는 예전부터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기계장치였다. 보일러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가정용 난방보일러다. 우리의 생활에 아주 편리하도록 만들어주는 기계로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나게 해주고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그런 보일러가 수도권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게 됐는데, 그 이유는 지역난방 때문이다. 지역난방공사와 같은 지역난방 서비스.. 2024. 8. 20. 크레인의 안전장치 (feat. 구조와 종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레인의 구조와 종류, 안전장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크레인은 모든 산업현장에서 흔하게 사용된다. 그만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취급할 수 있는 무게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크레인을 안전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일반적인 크레인 지식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어차피 크레인은 무거운 물체를 들기 위한 구조이므로 형태만 다를 뿐 기능은 대동소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크레인에 부착된 안전장치의 원리와 기능, 안전관리사항에 대해서 안다면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크레인의 구조크레인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74조에 따라 안전인증대상 기계에 해당한다.정격하중 0.5톤 이상의 크레인을 설치, 이전하거나 주요구조부분을 변경하게 되면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호이스.. 2024. 8. 13. 허용응력과 안전율 (feat. 사용응력, 기준강도) 이번에는 사용응력, 허용응력, 기준강도, 안전율에 대해서 알아볼까 한다.이 글을 읽기에 앞서 응력의 개념과 변형률에 대해서 미리 보고 오길 바란다.( 아래 포스팅 참고 ) https://portsafety.tistory.com/7 응력과 외력 (feat. 응력의 단위)오늘은 응력(stress)의 개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응력의 개념은 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주제다.내용이 방대해서 3개로 나눠서 정리를 해야겠다.그 1편portsafety.tistory.comhttps://portsafety.tistory.com/9 응력과 변형률 (feat. 응력-변형률 선도)지난 포스팅에서는 응력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혹시 응력 개념에 대해 아직 모호한 분은 아래 .. 2024. 8. 2. 응력과 외력 (feat. 응력의 단위) 오늘은 응력(stress)의 개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응력의 개념은 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주제다.내용이 방대해서 3개로 나눠서 정리를 해야겠다.그 1편은 응력과 단위가 되겠다. (2편은 변형율, 3편은 허용응력과 안전율) 기계장치, 방호장치, 건설기계, 도구 등 사용되는 모든 제품들은 작용되는 외력과 안전율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렇기 때문에 개념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나와있는 안전율 또는 안전계수와 연관되어 있음) 1. 응력 (Stress)우리는 일이 많을 때 “부하가 많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이게 바로 응력이다. 그렇다면 “로드가 많이 찼다”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바로 외력(하중)이 많이 작용한다는.. 2024. 8. 2. 기계설비의 근원적 안전화와 본질안전 기계설비의 안전에 있어 본질적으로 어떤 것을 고려해야 되는지 공부해 보도록 하자.상당히 난해한 주제이지만,,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므로 안전공학에서 사용하는 본질안전과 근원적 안전화에 대해 정리해 보자. 1. 개요기계설비를 설계 또는 제작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안전조건이 있다. 이 것들은 일종의 철학이며 끊임없이 되새김질하며 보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기계설비는 해당 제품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는 것이 최우선 고려대상이지만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기에 설계단계에서부터 안전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2. 근원적 안전화근원적 안전화란 사고발생 메커니즘 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안전조건이다.1) 외형의 안전화기계설비는 돌출부,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어야 하.. 2024. 7. 3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