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안전기술25

회전기계의 진동 (feat. 원인, 해결방안) 오늘은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원인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원론적인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1. 회전체에서 발생하는 원심력과 진동 물체가 회전을 하면 원심력이 발생한다. 회전체가 완벽한 원형이고, 회전체의 질량이 전면적을 걸쳐 일정하며, 회전의 중심이 회전체의 완벽히 중앙에 위치한다면 이 원심력은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항상 일정하게 작용된다.원심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F = m⋅r⋅ω2m은 질량, r은 질량 중심이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거리(편심), ω는 각속도이다.원심력은 질량과 거리에 비례하고, 회전속도에는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전체가 완벽한 원형일 수 없고, 회전체의 질량이 전면적에 걸쳐 일정할 수 없으며, 그 중심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완벽히 중앙.. 2024. 11. 8.
금속의 표면경화법 (feat. 침탄법, 질화법, 화염경화법, 고주파 경화법) 오늘은 금속재료의 표면경화법에 대해 알아보자. 금속의 표면을 단단하게 만드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탄소나 질소를 침투시켜 표면을 강화시키는 화학적 경화법과 담금질과 같은 열처리를 통해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물리적 경화법이다. 표면경화는 왜 해야 하는걸까? 표면경화법은 금속의 표면을 단단하게 만들고 내부는 연성을 유지하게 한다. 강력한 힘을 받는 기계요소, 이를테면 기어, 베어링, 커넥팅로드, 캠샤프트 등은 표면경화를 통해 충격에 강하면서도 질긴 특성을 갖게 만든다. 마치 건축물을 지을 때 콘크리트 안에 철근을 넣어 단단한 콘크리트와 질긴 철근이 큰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1. 금속의 강화기구 표면경화법을 설명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금속의 원소재 상태는 사용자나 설계자가 원하는 물성.. 2024. 11. 7.
금속의 강화기구 5가지 일반적으로 금속의 원소재는 사용자나 설계자가 원하는 상태가 아니다. 원하는 부품에 넣기에는 무르거나 취약한 경우가 많으므로 물성치를 원하는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처리과정을 거쳐야 한다.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속의 강화기구에 대해 알아야 한다. 금속이 강해지는 원리를 알고 적용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기계안전에 사용되는 방호장치나 기계에 적용되는 금속에 관한 내용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그 전에 금속재료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다음 포스팅을 참조금속재료의 기초 (feat. 철의 제조과정, 강의 분류, 스테인레스강) 금속재료의 기초 (feat. 철의 제조과정, 강의 분류, 스테인레스강)오늘은 금속재료에 대한 매우 간단한 기초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안전관리에 금속재료가.. 2024. 10. 25.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총정리 (feat. 종류, 방호장치 등) 로봇(Robot)은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의 극작가가 “로숨의 유니버설로봇”에서 유래한 단어로 알려져 있다. 1941년에는 아이작 아시모프가 로봇의 3원칙을 제시하며 로보틱스라는 학문의 시초가 되었고, 1961년에는 ‘유니메이트’이라는 회사가 GM 공장에 최초로 작업용 로봇을 가동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로봇의 개념은 100년 전부터 탄생해서 지금까지 함께 하고 있다. 지난 100년 동안 로봇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지금도 빠른 속도로 새로운 로봇이 만들어지고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로봇을 활용한 작업에 익숙해져야 하며 그와 동시에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는 안전지식을 쌓아야 한다. 필자는 로봇 작업장 경험은 없지만 관련 공부를 하며 정리한 것들을 나누고자 한다. (혹시 잘못된 내용이 .. 2024. 10. 24.
컨베이어 안전관리 총정리 (feat. 종류, 방호장치, 안전검사) 오늘은 컨베이어에 대한 정리를 해볼까 한다.컨베이어가 관심을 많이 받게 된 계기를 기억한다.2018년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작고하신 고 김용균 씨가 당한 사고 때문이다. 홀로 야간에 컨베이어에 석탄을 싣는 작업을 하다 컨베이어 벨트가 작동하지 않자 조치를 취하다 기계에 끼여 숨졌다.하청근로자가 혼자 근무했던 것, 위험작업임에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던 것, 보호구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던 것 등 많은 문제가 있었으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컨베이어에 대한 이해 부족이 아니었을까 싶다. 컨베이어가 갑작스레 멈추거나 이상신호를 보낼 경우에는 섣불리 접근해선 안된다. 모든 기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원칙이다. 점검을 위해 기계를 만질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꼭 기억하자.그런 연유로 컨베이.. 2024. 10. 22.
타워크레인 총정리 (feat. 위험성, 설치순서, 지지방법 등) 오늘은 타워크레인에 대해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타워크레인을 하나의 포스팅으로 모두 끝낼 수는 없겠으나 타워크레인의 개념에 대해 잘 모르거나 공부를 막 시작하신 분들에게는 가뭄의 단비 같은 글이 될 것이라 믿는다.이 내용들만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어도 안전관리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1. 타워크레인타워크레인은 크레인의 한 종류로 기초앵커 위에 마스트, 선회장치(턴테이블), 운전실, 캣헤드, 지브를 설치하여 중량물을 이송하는 기계장치이다.타워크레인을 학문적으로 분류할 때는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음 표와 같다.분류방식내용Jib 형태수평 Jib경사 JibJib는 고정되어 있고 트롤리가 횡행하여 작업반경 조절Jib의 기복에 의하여 작업반경 조절상승방법Crane Climbin.. 2024. 10. 16.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