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5 양중기 (feat. 양중기의 종류 및 방호장치) 오늘은 양중기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양중기가 워낙 방대해서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따지면 일주일도 모자라기 때문에 오늘은 양중기의 개괄적 내용에 한정해서 기술해 보겠다. 1. 양중기란?양중기는 한자어다. 올릴 양(楊), 무거울 중(重), 기계 기(機).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는 기계라는 뜻이다. 굳이 한자어로 풀이하는 이유는 아직까지 우리 산업안전보건법령 체계에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초기 법체계를 만들 때 일본의 법을 많이 참고하였고, 현재까지도 현장에서는 일본어와 한자어를 많이 사용하다 보니 언어순화도 더딘 것 같다. 그렇지만 한자만큼 함축적 의미를 담기 편한 수단도 없다. 양중기란 세 음절의 단어로 이토록 완벽히 그 의미를 녹여낼 수 있다니 말이다.각설하고, 산업안전보.. 2024. 10. 8. 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 안전검사 총정리 오늘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의 기계기구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건설업, 제조업을 막론하고 위험기계를 사용하지 않는 현장은 거의 없다고 본다. 심지어 서비스업에서도 간단한 기구들을 사용하고 있으니 본 포스팅 내용을 숙지한다면 기계기구의 안전관리체계에 대해 핵심을 꿰뚫을 수 있을 것이다. 1. 기계기구의 안전관리체계 산업안전보건법상 기계의 안전관리체계는 2가지로 볼 수 있다. 적합하게 제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과 적합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1) 적합하게 제조되었는가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안전인증과 자율안전확인이 여기에 해당한다. 제조자 또는 수입자가 고시에서 요구하는 성능과 기준에 적합한지 고용노동부 장관의 심사를 통해 인증을 받는 과정으로.. 2024. 10. 6. 목재가공용 둥근톱의 방호장치 (feat. 목재가공기계) 목재가공용 둥근톱은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기계로 둥근형태의 톱날을 이용한다.목재가공용 둥근톱을 포함한 목재가공용기계는 자율안전확인 대상 기계이며 둥근톱에 설치되는 방호장치인 톱날접촉예방장치와 반발예방장치 또한 자율안전확인 대상 방호장치이다.산업현장에서 꽤나 많이 사용되지만 안전관리에 있어 소홀할 수 있는 둥근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목재가공기계의 정의와 종류목재가공용기계는 목재만을 가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계이다. 금속을 대상으로 유사한 기능을 하는 기계는 공작기계라 하고 선반, 드릴기, 평삭기, 형삭기, 밀링머신 등이 있으나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다.그럼 먼저 목재가공기계의 종류와 각각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자.1) 둥근톱 : 가장 대중화된 제품이다. 둥근톱을 회전시켜 목재를 절단하는 것으로써.. 2024. 10. 3. 펌프의 이상현상 (feat. 공동현상, 맥동현상, 수격현상) 오늘은 펌프의 이상현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펌프의 이상현상은 왜 알아야 할까?장치산업에서 사용하는 펌프는 프로세스 유체를 다루는 경우가 많아 자칫 기계의 상태관리를 잘못할 경우 중대산업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PSM 사업장의 안전관리자는 펌프의 이상현상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비단, PSM 사업장이 아니더라도 사업장 내에 펌프를 보유하고 있다면 본 포스팅 내용을 잘 숙지하여 이상현상이 발생할 경우 참고하는 것이 좋겠다. 1. 펌프펌프는 유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기계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액체류를 다루지만 기체를 다루기도 한다. 펌프는 식품산업에서 석유화학산업까지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모든 종류의 펌프를 세세하게 이해하기란 어렵고, 각 .. 2024. 9. 30. 프레스의 안전대책 (feat. No-hand in die, 안전거리, 안전블럭) 지난 프레스의 위험성 및 방호대책 포스팅에 이어 프레스의 안전대책과 안전거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보고자 한다. 1. 프레스의 안전대책 프레스, 전단기, 절곡기와 관련하여 안전대책은 2가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1) No hand in die (다이 안에 손이 안 들어가는 방식) (1) 손이 못 들어가는 구조 (‘방금전’으로 암기) ① 안전방책(울) 설치 : 손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책을 설치하여 위험점을 감싸는 것 ② 안전금형 사용 : 상형과 하형의 틈새를 8mm 이하로 만듦 ③ 전용프레스 : 신체의 일부가 위험구역에 들어가지 못하는 구조의 프레스로 슬라이드의 이동거리가 8mm 이하이거나 노출부위가 8mm 이하로 만들어진 것 (2) 손이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구조 (자동 송배급).. 2024. 9. 24. 프레스의 위험성 및 방호장치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레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프레스는 재료를 소성가공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장비로 제조업에서 주로 사용된다.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면서 프레스가 가진 위험성과 방호장치를 정리해 보자. 1. 프레스(Press)란2개 이상의 금형을 이용해 재료를 굽힘, 압축, 천공, 절단하는 기계로 안전인증대상 기계에 포함된다. * 안전인증 대상 프레스에는 스트로크가 6mm 이하의 신체가 들어갈 수 없는 구조는 제외됨* 안전검사 대상 프레스는 3톤 이상만 해당되며 마찬가지로 스트로크가 6mm 이하는 제외통상 상형과 하형으로 구분되고, 상형이 왕복 운동을 통해 하형과 맞물려 재료를 가공하게 된다.전단기는 프레스와 구조적으로는 매우 유사하나 슬라.. 2024. 9. 19.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